PFMEA란 무엇이냐? 산출방법

 

 ■ PFMEA 정의

- 잠재적 고장 형태를 규명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기법을 사용하는 분석도구

- 제품의 기능, 잠재적인 고장 형태, 영향, 원인/발생과정, 설계 단계에서의 고장 검출 / 예방 방법을 지정된 양식에 기술하고 고장의 심각도, 발생빈도, 검출도를 각각 점수화하여 RPN을 정하며, 높은 위험순위부터 조치를 취함

 

 

 

 ■ PFMEA 작성 방법

 

 

 

 

 ■ PFMEA 산출 방식

 

   

RPN(위험우선순위도) 평가 기준
 - RPN = 심각도 × 발생도 × 검출도
 - RPN =100 이상 시정 조치 시행
1. 심각도-설계
       준 : 영향의 심각도   등급
경고없는 위험 잠재적 고장형태가 경고없이 SPEAKER에 영향을 미치거나 정부법규에 대해 불일치 사항이 포함될 때의 매우 높은 심각도 등급.   10
경고있는 위험 잠재적 고장형태가 경고를 하면서 SPEAKER동작(작동)에 영향을 미치거나 정부법규에 대해 불일치 사항이 포함될 때의 매우 높은 심각도 등급.   9
매 우 높 음 주요한 기능을 상실하면서 SPEAKER의 작동 불능.   8
     SPEAKER가 작동하지만, 성능이 떨어짐. 고객불만족.   7
     SPEAKER가 작동하지만, 몇가지 편의부품의 작동불능,고객이 불편을 경험함.   6
     SPEAKER가 작동하지만, 몇가지 편의부품의 성능이 떨어짐.고객 일부가 불만족을 경험함.   5
매 우 낮 음 대부분의 고객에 의해 인지되는 결함.   4
     평균적인 고객에 의해 인지되는 결함.   3
매 우 경 미 예민한 고객에 의해 인지되는 결함.   2
     영향 없음.   1
2. 발생도-설계
                CPK 등급
매 우 높 음 : 고장은 거의 필연적이다. 2개중  1개 이상 Cpk ≤ 0.33 10
3개중  1객 Cpk ≥ 0.33 9
         음 : 반복적인 고장. 8개중  1개 Cpk ≥ 0.51 8
20개중  1개 Cpk ≥ 0.67 7
         통 : 때때로의 고장. 80개중  1개 Cpk ≥ 0.83 6
400개중  1개 Cpk ≥ 1.00 5
2,000개중  1개 Cpk ≥ 1.17 4
         음 : 상대적으로 적은 고장. 15,000개중  1개 Cpk ≥ 1.33 3
150,000개중  1개 Cpk ≥ 1.50 2
          박 : 고장이 거의 없음. 1,500,000개중  1개 이하 Cpk ≥ 1.67 1
3. 검출도-설계
검 출 도      준 : 설계관리에 의한 검출 가능성   등급
절대적으로 불확실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하지 못하거나 검출할 수 없다 : 설계관리가 없는 경우.   10
매우 희박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매우 희박하다.   9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희박하다.   8
매우 낮음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매우 낮다.   7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낮다.   6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보통이다.   5
다소 높음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다소 높다.   4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높다.   3
매우 높음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매우 높다.   2
거의 확실 설계관리를 통해 잠재적 원인/메커니즘과 그 이후의 고장형태를 검출할 기회가 거의 확실하다.   1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